본문 바로가기

그래픽/캐리커처

반려동물 성격 혈액형으론 몰라! 개망나니 성격 '너 때문이야!'

개와 고양이의 혈액형. zzang's design(c). 2020.6.1 up.

개와 고양이의 혈액형은 왜 알고 있어야 하나?
집에 있는 자신의 반려동물(개·고양이)의 혈액형을 알고 있는 집사들은 드물다.

 

고양이는 혈액형은 A형, B형, AB형의 3 가지로 분류된다. 
대다수의 고양이는 A형이고 B형은 고양이의 종류에 따라 가끔 보이며, AB형은 매우 적다. 

고양이 A형 (95 %), B형 (약간), AB형 (매우 드물게) 
·아메리칸 쇼트헤어는 100 % A형

강아지의 혈액형은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은 13 종류가 있다. 
인간의 ABO 식과는 달리 DEA 식이다. DEA1.1 형이라든지, DEA1.2 형이라든지, DEA3 인치라는 식으로 불린다

사람의 혈액형은 ABO  '이라는 분류 방법이 채택되고 A · B · O · AB형의 4 종류로 나눌 수 있지만, 개의 경우는 "DEA ( Dog Erythrocyte Antigen)  '이라는 방식으로 분류된다. 
DEA는 직역하면 '개 적혈구 항원'. 표기 방법은 다르지만, 혈액의 적혈구 표면에 있는 항원의 종류에 따라 혈액형이 결정 점은 사람과 다르지 않다.

· 미니어처 닥스 훈트, 시추 등  'DEA1.1 +'의 비율이 70 % 이상 
· 마르티즈, 웰시 코기 등 'DEA1.1-'의 비율이 40 % 이상


건강하게 지내 있으면 별로 신경 쓸 일이 없지만 만일 부상이나 질병 등 갑작스러운 사태가 발생했을 때 혈액형 관련 지식이 있다면 여유를 갖고 대처할 수 있다. 
  
인간은 ABO 식의 4 종류의 혈액형이 있는데 개 혈액형은 DEA 식이라고 분류. 
각각 +인지 -인지, 즉 항원을 가지고 있는지 없는지에 혈액형을 결정한다. 
또한 개는  마리에 대해 여러 항원을 가질 수 있다. 
즉 우리처럼 "나는 A형"이라 하지 않고 "DEA1.1 (-) DEA1.2 (+) DEA3 (-)"와 같이 매우 복잡한 혈액형으로 분류한다. 

이렇게 복잡한 강아지의 혈액형. 혹시 혈액형으로 성격을 알 수 있을까라고 생각하겠지만, 불행히도 개는 혈액형과 성격은 관계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아지의 성격은 사회화 시기의 생활 환경과 훈육 견종 이외에 본래 가지고 있는 특성 등에 좌우되는 것이 많다. 
  
혈액형을 알고 있으면 매우 유용하다. 
언제 어떤 질병에 걸릴지 모르는 반려동물을 위해 안전한 수혈을 조속히 하기 위해서도 사전 혈액형 검사를 추천한다.

 

캐리커처= zzang's design(c). 2020.6.1 up.